본문 바로가기

특허출원3

특허의 신규성과 공지예외주장 예를 들어, 대학원생이 획기적인 연구 성과를 얻어 권위 있는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또는 한 스타트업 대표는 투자 유치를 위해 시제품을 만들어 박람회에 멋지게 전시했습니다. 하지만 바로 그 순간, 이들이 '특허권'이 사라졌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오늘은 특허의 심장과도 같은 '신규성' 원칙과, 자칫 잘못하면 내 발명을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공개' 행위, 그리고 다행히 우리 법이 마련해 둔 '공지예외주장'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특허의 '신규성'과 그 상실특허를 받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강력한 원칙은 바로 '신규성(Novelty)'입니다. 이는 특허를 출원하는 날, 여러분의 발명이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완전히 새로운 것'이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만약 출원일 이전.. 2025. 8. 17.
특허 심사관은 왜 내 특허를 거절할까? 거절이유 TOP 3 오랜 시간 공들여 준비한 특허 출원서류를 제출하고, 몇 달을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렸는데 특허청에서 날아온 것은 '등록 결정'이 아닌 '의견제출통지서'. 그 안에 적힌 '거절이유'라는 단어를 보면 눈앞이 캄캄해지고 "내 아이디어가 부족했나?" 하는 생각에 실망감이 밀려옵니다.심사관은 대체 왜, 무슨 기준으로 내 소중한 발명을 거절하는 걸까요? 오늘은 특허 심사관이 왜 특허를 거절하는지, 가장 흔한 거절이유 TOP 3를 알아보겠습니다. 심사관의 관점을 이해하면 두려움은 줄고, 등록의 길은 더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1. 신규성 위반: 이 발명은 이전에 없던 것인가?신규성 위반: 출원인이 제출한 발명의 내용은, 검색한 데이터베이스(기존 특허, 논문, 인터넷 게시물 등)에 출원일 이전에 공개된 A라는 자료와 동일.. 2025. 8. 11.
특허 이야기 - 심사청구란, 출원과 심사청구 분리 이유, 심사 청구 체크리스트, 우선심사 제도 지난 글들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꼼꼼하게 명세서까지 작성하는 방법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심사청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허 출원 후 "이제 특허청에서 알아서 심사해 주겠지?"라고 생각한다면, 여러분의 소중한 발명은 기약 없는 기다림에 빠질 수 있습니다.오늘은 특허 출원만큼이나 중요한, 하지만 많은 분들이 놓치는 결정적인 단계인 바로 '특허 심사청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심사청구란, "심사관님, 제 서류 좀 봐주세요!"특허 심사청구란 특허청에 출원한 발명에 대하여 실질적인 심사를 개시해 달라고 공식적으로 요청하는 절차입니다. 특허는 출원만으로 자동 심사가 진행되지 않으며, 반드시 별도의 심사청구가 있어야만 심사관이 신규성, 진보성 등 특허 등록 요건을 검토하게 됩니다. 2.. 2025.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