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표 이야기13

상표권 침해 경고장(내용증명)을 받았다면? 단계별 대응 매뉴얼 어느 날, 우체국을 통해 배송된 '내용증명' 우편물을 열어보니, "귀하가 사용하는 명칭은 당사의 상표권을 침해하고 있으니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손해를 배상하라"는 무서운 내용의 '상표권 침해 경고장'이라면?머리가 하얘지고, "이제 사업을 접어야 하나?", "소송에 휘말리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에 눈앞이 캄캄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로 이 순간, 가장 중요한 것은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그리고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 위기 상황을 슬기롭게 헤쳐나갈 수 있는 단계별 대응 매뉴얼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가장 먼저 할 일경고장을 받았다면, 다음 세 가지를 먼저 기억하세요.패닉 금지: 내용증명은 법원의 판결문이 아닌, 상대방의 '공식적인 주장'일뿐입니다. 법적 강제력은 없으니 일단.. 2025. 9. 9.
'티파니 블루', '에르메스 오렌지': 색깔만으로도 상표가 될 수 있을까? 특정 색깔만 봐도 떠오르는 브랜드가 있나요? 민트색에 가까운 하늘색 상자만 봐도 심장이 두근거리고, 강렬한 주황색 쇼핑백만 봐도 그 품격이 느껴지며, 선명한 빨간색 캔만 봐도 갈증이 해소되는 기분이 든다면, 당신은 이미 특정 브랜드의 '색깔'을 브랜드로 인식하고 있는 것입니다.이처럼 특정 색깔은 때로 이름이나 로고보다 더 강력하게 우리에게 브랜드를 각인시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드는 질문. 한 기업이 특정 '색깔' 자체를 독점하는 것이 법적으로 가능할까요? 오늘은 아주 특별하고 강력한 상표, '색채상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원칙: 색채는 '모두의 것'상표 등록의 가장 중요한 조건은 '내 것'과 '남의 것'을 구별하는 힘, 즉 '식별력'입니다. 하지만 '빨간색'이나 '파란색' 같은 단일한 색채.. 2025. 8. 23.
내 브랜드에 맞는 상표 유형? 문자상표, 도형상표, 복합상표 사업을 대표할 멋진 브랜드 '이름'과 '로고'를 만들었다면, 이제 상표 출원을 통해 법적인 권리를 확보해야 합니다. 그런데 출원 서류를 준비하다 보면 첫 번째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됩니다. "이름(문자)만 등록할까?", "로고(도형)만 등록할까?", "아니면 합쳐서 등록할까?"상표는 어떤 '유형'으로 등록하느냐에 따라 보호받는 권리의 범위가 달라집니다. 오늘은 가장 대표적인 상표 유형인 문자상표, 도형상표, 복합상표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문자상표: 이름 그 자체의 힘'문자상표'란, 특정한 글자(한글, 영문, 한자 등) 자체로 구성된 상표를 말합니다. 로고나 디자인 요소 없이, 오직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진 이름입니다.예시: 삼성(SAMSUNG), 코카콜라(Coca-Cola.. 2025. 8. 18.
상표 등록 조건, 상표의 식별력이란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하려는 A사장님, "우리 사과는 정말 맛있으니까, 브랜드 이름도 정직하게 '맛있는 사과'로 해야겠다!"라고 결심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하지만 특허청은 A사장님의 상표 등록을 거절했습니다. 대체 왜일까요?바로 상표 등록의 가장 중요한 부분, '식별력(distinctiveness)'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상표의 '식별력'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이름들이 식별력이 없어 등록받을 수 없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상표의 '식별력'이란?'식별력'이란, 단어 그대로 '내 상품(서비스)과 다른 사람의 상품(서비스)을 식별할 수 있는 힘'을 의미합니다. 소비자가 어떤 이름이나 로고를 보았을 때, "아, 이건 그 회사 제품이구나!" 하고 출처를 명확하게 떠올릴 수 있게 만드는 힘입니다... 2025. 8. 15.
상표권의 범위, '지정상품' 제대로 이해하기 많은 분들이 상표를 등록하면 그 이름에 대한 절대적인 권리가 생긴다고 오해하지만, 상표권의 진짜 힘은 내가 '지정상품'을 어떻게 정했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상표 출원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지만 가장 어렵고, 한번 결정하면 수정하기도 힘든 '지정상품'. 오늘은 이 지정상품이 무엇인지, 그리고 내 사업의 현재와 미래를 모두 지킬 수 있는 전략적인 선택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지정상품이란? '지정상품'이란, 내가 출원하는 상표를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에 사용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지정하여 명시하는 목록입니다.내가 의류(상품)와 쇼핑몰 운영(서비스업)을 지정했다면, 내 상표권은 '의류'와 '쇼핑몰' 분야에 한정됩니다. 다른 사람이 내 상표와 똑같은 이름으로 '빵집'을 운영하더라도, 지정상품이 다르기.. 2025. 8. 14.
'보통명칭화': 너무 유명해져서 식별력을 잃은 브랜드들 "딱풀 있어요?", "초코파이 먹고 싶다", "호치키스로 찍어줘".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이런 말들을 아주 자연스럽게 사용합니다. 그런데 혹시, 이 이름들이 원래는 특정 회사의 '독점적인 브랜드 이름', 즉 상표였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모든 브랜드의 꿈인 '국민 브랜드'가 되는 순간, 오히려 독점적인 권리를 잃게 될 수도 있는 역설적인 현상, 바로 '보통명칭화(genericide)'입니다. 오늘은 성공한 브랜드일수록 왜 더 철저한 상표 관리가 필요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보통명칭화'란'보통명칭화'란, 특정 회사의 상표가 너무나도 유명해진 나머지, 소비자들이 그 이름을 더 이상 특정 브랜드로 인식하지 않고, 그 종류의 상품 전체를 가리키는 일반 명사처럼 사용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예를 들어.. 2025. 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