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재산권 이야기

2025년 우리말 우수상표 및 아름다운 한글글자체 디자인 선정대회 개최 안내 - 접수기간, 대상, 접수방법, 평가, 주요일정

by Life&Law 2025. 8. 8.

우리말과 글꼴로 만든 감성, 지식재산으로 지킨다

수많은 외국어와 신조어 속에서도 우리 한글만이 가진 고유한 아름다움과 힘이 있습니다. 우리 한글의 아름다움을 장려하고, 그 가치를 산업과 문화 속에서 더욱 빛내기 위한 특별한 대회가 열립니다.

바로 '특허청'이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및 '국립국어원'이 후원하는 2025년 우리말 우수상표 및 아름다운 한글글자체 디자인 선정대회입니다.

우리말 우수상표 선정대회는 순우리말 상표의 출원과 사용을 장려하기 위하여 지난 2016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으며, 특히 올해는 제579돌 한글날을 맞아 제1회 아름다운 한글 글자체 디자인 공모전을 함께 개최하여 우리말과 한글의 문화적·재산적 가치를 더 깊이 되새겨볼 수 있습니다. 이하에서는 2025년 우리말 우수상표 및 아름다운 한글글자체 디자인선정대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우리말 우수상표 및 아름다운 한글글자체 디자인 선정대회"라고 적힌 이미지


 

1. 2025년 대회 핵심 정보

  • 접수 기간: 2025년 8월 4일(월) ~ 2025년 8월 29일(금)
  • 공모 분야 및 대상:
    ① 상표 부문: 2025년 8월 현재 등록이 유효한, 우리말로 된 상표

    ② 글자체디자인 부문: 2025년 8월 현재 등록이 유효한, 한글 글자체 디자인
  • 접수 방법: 온라인 특허청 홈페이지를 통한 접수 (또는 제3자 접수도 가능)
  • 접수 비용: 무료

※ 단, 타인의 상표를 모방한 상표, 악의적 상표선점행위 의심자가 보유한 상표, 심판·소송 등 분쟁 중인 상표,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은 상표, 유사 대회에서 이미 수상한 상표는 제외할 예정입니다.

 

2. 평가 기준 및 시상 내역

(1) 상표 부문

  • 평가 기준: 규범성(7점), 고유성(5점), 이해성(5점), 공공성(5점), 참신성(5점), 적합성(3점)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 평가 위원: 국어전문가(국립국어원 추천) 3명, 브랜딩 전문가 2명으로 구성됩니다.
  • 시상 내역:
    • 아름다운상표 (문체부장관상 1건)
    • 고운상표 (특허청장상 1건)
    • 정다운상표 (국립국어원장상 5건)

(2) 글자체디자인 부문

  • 평가 기준: 조형성(10점), 심미성(10점), 독창성(10점)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 평가 위원: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추천 3명, 글자체 전문가 1명으로 구성됩니다.
  • 시상 내역:
    • 아름다운 한글디자인 (특허청장상 1건)
    • 으뜸 한글디자인 (특허청장상 1건)

 

3. 전체 일정 한눈에 보기

  • 추천공고 및 접수: 8월 4일 ~ 8월 29일
  • 사전심사: 9월 1일 ~ 9월 5일
  • 전문가 심사: 9월 8일 ~ 9월 19일
  • 수상작 확정 및 안내: 9월 23일
  • 시상 (예정): 10월 16일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4. 문의 및 접수처

2025년 우리말 우수상표 및 아름다운 한글글자체 디자인 선정대회 안내 이미지(출처: 특허청 홈페이지)
출처: 특허청 홈페이지


 

특허청 이춘무 상표디자인심사국장은 “올해는 우리말 우수상표와 한글 글자체 디자인을 함께 시상하게 되어 더욱 뜻깊다.”면서, “우리의 말과 글은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예술성까지 품고 있음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2025년 우리말 우수상표 및 한글 글자체 디자인 선정대회는 단순한 공모전을 넘어, 우리 한글이 얼마나 소중하고 아름다운 산업적·문화적 자산인지를 다시 한번 깨닫게 하는 의미 있는 행사입니다. 이 대회를 통해 더 많은 한글의 멋이 세상에 널리 퍼져나가기를 응원하겠습니다.

 

 

※ 글씨체 디자인에 관한 글, 보러 가기!

[디자인 이야기] - 디자인 이야기 - 글자체 디자인이란, 등록요건

 

디자인 이야기 - 글자체 디자인이란, 등록요건

우리는 매일 스마트폰, 책, 거리의 간판을 통해 수천, 수만 개의 글자를 마주합니다. 똑같은 문장이라도 어떤 글자체로 쓰였느냐에 따라 진지하게, 혹은 유쾌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지난 포스

law.yunista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