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특허를 받기 위한 전체적인 절차에서 첫 단계라 할 수 있는 '선행기술조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행기술조사를 어떻게 하는 것인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내 아이디어는 세상에 없던 거니까 괜찮아!"라고 생각이 들더라도, 딱 10분만 투자해서 이 글을 읽어보세요. 여러분의 소중한 시간과 비용을 아끼고, 더 강력한 특허를 만들 수 있는 지혜를 얻게 될 겁니다.
1. 선행기술이란, 왜 필수일까요?
'선행기술'이란, 내가 특허를 출원하기 전에 이미 세상에 공개된 모든 기술을 의미합니다. 논문, 뉴스 기사, 인터넷 게시글, 그리고 당연히 이미 등록된 다른 사람의 특허까지 모두 포함됩니다.
선행기술조사는 바로 이 '선행기술'을 미리 찾아보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시간과 비용 낭비 방지: 내 아이디어와 똑같거나 비슷한 기술이 이미 있다면 특허를 받을 수 없습니다. 미리 확인하고 시간과 비용 낭비를 막을 수 있습니다.
- 아이디어 업그레이드: 비슷한 기술을 보며 내 아이디어의 단점을 보완하거나,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시킬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강력한 권리 확보: 다른 기술과의 차이점을 명확히 알게 되므로, 특허 서류를 작성할 때 내 기술만의 독창적인 부분을 더 효과적으로 강조할 수 있습니다.
2. 선행기술 조사 방법, 키프리스(KIPRIS)를 이용한 특허 검색
선행기술을 조사하기 위한 다양한 사이트가 있지만, 특허청이 운영하는 '특허정보넷 키프리스(KIPRIS, www.kipris.or.kr )', 구글 특허(Google Patents, https://patents.google.com/ ) 등을 이용하여 무료로 선행기술을 조사할 수 있습니다. 이하에서는 키프리스를 이용하여 선행기술을 조사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단계: 내 아이디어 '키워드'로 분해하기
검색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키워드'에 달려있습니다. 내 아이디어를 하나의 문장이 아닌, 여러 개의 핵심 단어로 쪼개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예시) 자동으로 내용물이 섞이는 텀블러
- 핵심 구성: 텀블러, 컵, 모터, 회전 날개, 교반 장치...
- 핵심 기능: 섞다, 교반, 혼합, 회전, 자동...
- 동의어/유의어: 믹서 텀블러, 자동 믹싱 컵, 쉐이커...
이렇게 다양한 키워드를 미리 생각해 두는 것이 검색의 정확도를 높이는 비결입니다.
2단계: 키프리스 검색창에 키워드 조합하기
키프리스 메인 화면의 검색창에 위에서 선정한 키워드를 넣어 검색을 시작합니다.
- 기본 검색: 우선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키워드 2~3개를 조합해 보세요.
- 자동 AND 텀블러
- 교반 AND 컵
- 연산자 활용하기: 검색 연산자를 활용해 보세요.
(Tip. 키프리스의 '검색도움말'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AND (*): 두 단어를 모두 포함하는 결과 (예: 텀블러 * 모터)
- OR (+): 두 단어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결과 (예: (텀블러 + 컵) * 자동)
- NOT (!): 특정 단어를 제외하는 결과 (예: 텀블러 ! 보온)
3단계: 검색 결과 살펴보기 및 분석하기
검색 결과 목록이 나타나면 제목과 요약 내용을 중심으로 빠르게 살펴봅니다. 내 아이디어와 비슷해 보이는 것이 있다면 클릭해서 상세 내용을 확인합니다.
- 무엇을 봐야 할까?
- 도면: 발명의 전체적인 구조를 가장 빠르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요약(초록): 발명의 핵심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한 부분입니다. 도면과 요약만 봐도 비슷한 기술인지 아닌지 80%는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
- 특허청구범위: 만약 정말 비슷하다고 느껴진다면, 이 발명이 실질적으로 보호받는 권리 범위를 정의한 '특허청구범위'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조금 어렵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3. 해석 방법,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비슷한 기술을 찾았다고 해서 실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기회일 수 있습니다.
- 완전히 똑같은 기술을 찾았다면? 아쉽지만 그 아이디어는 특허받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포기하지 말고, 그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상해 볼 수 있습니다.
- 일부만 비슷한 기술을 찾았다면? 아주 좋습니다! 그 기술과 내 아이디어의 '차이점'이 바로 여러분의 특허 포인트가 됩니다. 그 차별점을 더 날카롭게 다듬어 특허 출원을 준비하면 됩니다.
오늘은 선행기술조사의 중요성과 키프리스를 활용한 검색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선행기술조사는 단순히 '등록될까, 안 될까'를 점치는 과정이 아니라, 내 아이디어를 더 단단하고 가치 있게 만드는 '전략 수립' 과정입니다. 물론, 변리사를 통해 더 깊이 있는 전문 조사를 진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하지만 그전에 직접 한번 부딪혀보는 경험은 분명 큰 자산이 될 것입니다.
'특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허 이야기 - 의견제출통지서란, 통지서 수령 시 해야 할 일, 대응 방안 (29) | 2025.07.24 |
---|---|
특허 이야기 - 심사청구란, 출원과 심사청구 분리 이유, 심사 청구 체크리스트, 우선심사 제도 (28) | 2025.07.24 |
특허 이야기 - 특허 명세서란, 특허 명세서 작성 방법 (65) | 2025.07.23 |
특허 이야기 - 특허받기 위한 절차 A to Z (48) | 2025.07.22 |
특허 이야기 - 특허권이란, 특허 받기 위한 조건, 특허 받아야 하는 이유 (49) | 2025.07.22 |